2023년 수능 등급컷 원점수와 백분위 1분 확인 법
수능 보시느라 다들 수고 많으셨습니다. 이제부터는 수능 이후의 전략이 필요할 때 입니다. 그 전에 이번 시험을 통해 받게 될 나의 예상점수로 등급을 확인해 보시면 더욱 좋은 입시전략을 세우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2023년 수능 등급컷(2022년 포함)과 2023년 정시 지원 전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작성일 2022년 11월 18일)
목 차
1. 2023년 수능 등급컷(2022년과 비교)
1.1. 국어(화법과 작문, 언어와매체)
1.2. 수학(확률과통계, 미적분, 기하)
1.3. 영어
1.4. 한국사
1.5. 사회(생활과윤리, 윤리와사상)
1.6. 사회(한국지리, 세계사)
1.7. 사회(세계지리, 동아시아사)
1.8. 사회(정치와 법, 경제)
1.9. 사회(사회/문화)
1.10. 과학(물리학I, 화학I)
1.11. 과학(생명과학I, 지구과학I)
1.12. 과학(물리학II, 화학II)
1.13. 과학(생명과학II, 지구과학II)
1.14. 직업(농업 기초 기술, 공업 일반)
1.15. 직업(인간 발달, 성공적인 직업 생활)
1.16. 직업(상업 경제, 수산해운 산업 기초)
2. 2023 정시 성적 반영 방법
1. 2023년 수능 등급컷(2022년과 비교)
2023년 수능 예상 등급컷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수능 예상 등급컷(EBSI 발표)과 같이 각 과목별 2022년 수능 등급컷도 같이 비교해 보도록 하겠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1. 국어(화법과 작문, 언어와매체)
(2023 수능 등급컷) 화법과 작문 평균 58.90 / 언어와 매체 평균 68.70
1.2. 수학(확률과통계, 미적분, 기하)
(2023 수능 등급컷) 확률과통계 평균 33.90 / 미적분 평균 56.20 / 기하 평균 42.70
1.3. 영어
1.4. 한국사
1.5. 사회(생활과윤리, 윤리와사상)
(2023 수능 등급컷) 생활과윤리 평균 26.10 / 윤리와사상 평균 23.90
1.6. 사회(한국지리, 세계사)
(2023 수능 등급컷) 한국지리 평균 28.20 / 세계사 평균 26.30
1.7. 사회(세계지리, 동아시아사)
(2023 수능 등급컷) 세계지리 평균 26.30 / 동아시아사 평균 29.00
1.8. 사회(정치와 법, 경제)
(2023 수능 등급컷) 정치와 법 평균 23.30 / 경제 평균 23.30
1.9. 사회(사회/문화)
(2023 수능 등급컷) 사회문화 평균 24.40
1.10. 과학(물리학I, 화학I)
(2023 수능 등급컷) 물리학 I 평균 25.60 / 화학 I 평균 24.00
1.11. 과학(생명과학I, 지구과학I)
(2023 수능 등급컷) 생명과학 I 평균 25.00 / 지구과학 I 평균 24.40
1.12. 과학(물리학II, 화학II)
(2023 수능 등급컷) 물리학 II 평균 22.60 / 화학 II 평균 23.20
1.13. 과학(생명과학II, 지구과학II)
(2023 수능 등급컷) 생명과학 II 평균 22.50 / 지구과학 II 평균 24.40
1.14. 직업(농업 기초 기술, 공업 일반)
(2023 수능 등급컷) 농업 기초 기술 평균 26.10 / 공업일반 평균 28.20
1.15. 직업(인간 발달, 성공적인 직업 생활)
(2023 수능 등급컷) 인간 발달 평균 22.50 / 성공적인 직업 생활 평균 29.50
1.16. 직업(상업 경제, 수산해운 산업 기초)
(2023 수능 등급컷) 상업 경제 평균 20.60 / 수산해운 산업 기초 평균 19.30
보다 상세한 내용은 EBSi를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 2023 정시 성적 반영 방법
2023 수능 등급 컷을 통해 에상되는 성적에 따라 지원 가능한 대학을 사전에 확인해봐야 합니다. 서울 주요 대학 정시 영어 반영 방식과 등급별 환산점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수능 성적표에는 100점 만점의 원점수가 나오지 않고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과 같은 지표만이 기록됩니다. 이러한 지표 중 어떤것을 활용하는지가 대학마다 다르고, 이에 따라 차이가 생길 수 있으므로 사전에 철저히 확인해야 합니다. 이 때 한 개의 영역의 성적만 확인할 것이 아니라 반영되는 모든 영역과 과목의 표준점수와 백분위의 차이를 따져봐야 합니다. 상위원 대학은 대체로 국어, 수학은 표준점수, 영어와 한국사는 등급, 탐구 영역은 변환표준점수를 활용해 학생의 성적을 산출하며, 전국 대학을 기준으로는 백분위를 활용하는 대학이 가장 많습니다.
대학별 수능 활용 지표는 아래의 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알려드린 정보가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버튼을 꾸욱! 눌러 주시고, 우측 상단의 '구독 설정'을 해주시면 더 좋은소식을 지속적으로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