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반려동물 보유세] 왜 언제 얼마나 낼까?

by 뉴스파랑새 2022. 9. 26.
반응형

반려동물의 수가 1500만에 이르고 있음에 따라, 반려 동물중 특히 가장 많은 개체인 '개'에 대한 반려동물 보유세 논의가 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보유세 논의되게 되었으며, 얼마를 낼지, 보유세 도입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입장은 어떤것이 있는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려동물보유세

 

 


 

 

 반려동물 보유세 논의 내용(왜, 언제, 얼마나)

 

반려동물 보유세와 관련해서 무슨이유 하는지, 타 국가 사례는 어떤지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려동물 보유세 주요사항

 

  • 시행배경 : 2020.1.15. 보도된 농림축산산식품부 2020~2024년 동물복지 종합계획에 따름(첨부파일 참조)
  • 왜 하는지? : 반려동물 보유세 또는 부담금 도입을 검토하여 지자체 동물보호센터, 전문기관 설치 및 운영 활용(2022년)
  • 언제부터 하는지? : 미정
  • 얼마나 내야하는지? : 보유세 금액은 미정
  • 보유세 관련 조사 내용 : 2022년 8월 서울신문 및 공공의창(조사기관)의 설문을 통해 보유세 도입 57.3% 찬성(총 1002명 조사)

(동물복지 종합계획 다운)

농식품부, 2020_2024년 동물복지 종합계획 발표, 보도자료(1.15, 조간).hwp
0.66MB

 

 

 

반려동물보유세반려동물보유세반려동물보유세
반려동물보유세반려동물보유세반려동물보유세

 

반려동물 보유세 타 국가 사례

 

우리나라는 이제 반려동물에 대한 보유세를 검토하고 있는 단계이지만, 해외에서는 이미 이 사항에 대해 시행하고 있는 국가들도 많이 있습니다.

 

  • 유럽 : 독일(14만원~80만원), 오스트리아(독일과 유사), 스위스(14만원~), 네덜란드(17만원~)
  • 북미 : 미국(주별로 상이하나 유럽보다 저럼), 캐나다(7만원~)
  • 오세아니아 : 호주(12만원~45만원)
  • 아시아 : 중국(17만원)
  • 관련 내용은 나무위키를 참조하였으며, 상세한 보유세의 경우 환율 및 정책 등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보유세연간 기준임)

 

반려동물보유세반려동물보유세반려동물보유세
반려동물보유세반려동물보유세반려동물보유세

 

 


 

 

 반려동물 보유세 찬반 논의

 

반려동물 보유세 도입에 대해 찬반의 논의가 많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찬성입장

  • 수익자 부담 원칙 : 반려동물로 야기되는 사회적 비용을 그 원인을 제공한 소유자부담해야 한다는 원칙(공공시설, 유기묘 등)
  • 자격없는 사람의 반려동물 보유 예방 : 반려동물 양육에 따른 비용감당할 수 있는 사람이 키워야 한다는 원칙
  • 환경적 오염 처리 :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소유자에 부담(배변을 통한 탄소배출량, 사료만드는데 따르는 환경오염, 배설물 등)

 

반대입장

  • 형평성 문제 : 세금 부과로 인한 반려견 양육을 할 수 있는 사람을 분류하는것이 형평성어긋남
  • 역효과 발생 : 세금 부과로 인해 사람들이 더욱 더 많이 반려동물을 포기하여 유기견만들게 될 것

 

반려동물보유세반려동물보유세반려동물보유세

 

 

이상으로 반려동물 보유세 시행이유, 찬반 논의 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 더 많은 합의를 통해 결정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반려동물 등록제 미등록시 벌금 60만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에 따르면 우리나라 반려동물 수가 1,500만에 이른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총 국민수가 5,000만명이 조금 넘으니 약 3명당 1명은 반려동물을 기르고 있는 것입니다. 증가하

exit3.sephylos30.com

 

반응형

댓글